-
트럼프 vs 바이든, 차기 대통령 바이든이 유리? 바이든 당선시 우리에게 미치는 영향 분석!경제 2020. 10. 19. 01:41반응형
미국 대선은 11월3일 일정대로 선거 진행예정입니다.
누가 대통령이 되는 것에 따라 우리가 수혜를 얻는 업종은 무엇일까요?
미국대선의 관전포인트와 경제 영향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
*출처 : 픽사베이
트럼프 대통령이 코로나에 걸리면서 바이든 쪽으로 판세가 기울고 있다고 합니다.
그 격차는 줄지 않고 오히려 확대된다고 하는데요.
바이든은 어떤 사람인지 알아볼까요?
트럼프는 겪어보지못한 사람이었다면, 바이든은 이미 40년 가까운 공직생활을 해와서 검증된 사람입니다.
1973년부터 2009년까지 델라웨어주 연방 상원의원으로 재직했고 2009년부터 2017년까지 제 47대 부통령을 지냈습니다.
트럼프가 우파라면 바이든은 성향은 중도,온건한 진보 정도라고 평가받고 있습니다.
-경제 공약을 보면,
IT공룡 기업에 대한 독점 규제를 펼칠 것입니다. 이는 페이스북 같은 IT기업에는 큰 악재가 될 것입니다.
(자세한 설명은 나중에 다른 글에서 하겠습니다^^)
트럼프 정부하에 수혜를 많이 입은 기업의 법인세도 일정수준으로 올리겠다고 합니다.
경기부양을 위한 인프라 투자는 바이든이 조금더 강합니다.
민주당은 2조달러 경기부양, 공화당은 1.8조 달러이며
바이든이 재정을 푼다는 것은 인프라를 확충하는 것인데요.
실제 미국에는 낡은 시설이 너무 많습니다.
철도 항만 교량할 것 없이 모두 낙후되었고,
현재까지 주로 유지보수하면서 지냈지만, 사실 트럼프는 이 부분에서 많은 성과를 보여주진 않았습니다.
특히 그린산업이 핵심인데요!
기후변화를 막기 위해 탄소배출을 낮춰야 하기에
모든 산업을 저탄소산업으로 바꾸겠다고 나서고 있습니다.
2035년까지 모든 전력에서 탄소 배출을 멈추겠다고 하는데요.
한 예로, 미국에는 1100기가와트 전력생산 설비가 있는데 약 700기가와트가 천연가스 석탄입니다.
이를 모두 재생에너지 풍력 태양광으로 바꾸려고 합니다.
파리협약에서 탈퇴한 트럼프지만
바이든은 당선 첫날 파리협약에 재가입 하겠다고 공약하였습니다.
전세계가 그린산업으로 가고 있습니다.
제가 생각하기에도, 글로벌 온난화 현상을 제어하고 친환경을 추구하고 있는 이러한 시기에
탄소배출을 많이 하는 트럼프의 정책방향은 어찌보면 당연히 구시대적인 발상인듯 합니다.
-우리나라 입장에서 바이든 당선 시 좋은 점은,
소위 강세 업종(?)이라고 칭하자면,
전기차 배터리 우리나라가 강하고 잘만들죠. 수소차도 마찬가지구요.
관련 기업을 공부해 보시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
현재는 재생에너지 기술이 발전되어 에너지 효율이 좋아져 경제적입니다.
또한, 우리나라는 미중 무역전쟁으로 중간에 난처한 상황입니다.
바이든이 대통령이 되면 무역측면에서도 우리에게 더 유리해질수 있는 부분이 있다고 보여집니다.
-우리나라 신토불이 개념(?)인 Make America는 바이든과 트럼프가 동일한데요.
점점 미국 기업의 해외공장을 자국으로 옮기는 추세입니다.
민주당도 중국을 견제하는 것은 마찬가지지만 지금처럼 갑작스러운 관세매기기가 아닌 기존 시스템을 이용해서 견제해 나갈 것입니다.
-금리는 저금리 기조로 갈수 밖에 없는데요.
국가부채가 GDP대비 과거 50~60%였지만 현재는 100%를 넘었기 때문입니다.
다만! 민주당은 재정투입에 대해서 자유스러웠는데요.
만약 바이든이 당선된다면 이번에도 과감한 재정투입이 될 것입니다.
이를 가정하면, 미국이 국채를 많이 발행하면서 시장에 국채 물량이 늘어나면 금리를 많이줘야 자금 조달이 될테니까 바이든이 되면 금리가 올라갈 것이라 예측하는 분들이 많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재정투입은 많이 늘릴 것입니다.
지금까지 한 말을 정리해보면,
만약 바이든 후보가 대통령이 되면,
친환경 정책!
정부가 돈을 많이 써서 인프라 구축!
금리 상승!
상원 하원 다 바뀌면 정책이 금방 반영!
이번 선거는 어찌보면 트럼프 vs 바이든이 아닌 트럼프 vs 반 트럼프 구도입니다.
또한, 이번선거에서는 상원, 하원, 대통령 모두 바뀝니다.
만약 바이든 후보측이 상하원 의석을 장악할 경우 그의 정책이 단기간에 반영될 것이기에 귀추가 주목됩니다.
*오늘의 동서양의 명언 한마디 : 이기는 편 우리편 :)
반응형'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개인 공매도 불편한 사전 필수 교육 미리보기 (4) 2021.04.27 씨티은행 장사안해? 씨티은행 철수 원인과 예상되는 시나리오 쉽게 알아보자 (0) 2021.04.24 상품판매의 기본, 제품수명주기를 알자! (0) 2020.06.28 신용보증기금? 코로나 시국 중소기업과 자영업자의 구원투수! (0) 2020.06.26 환율 쉽게 이해하는 방법은? (0) 2020.06.25